엑셀에서 표의 특정 값을 기준으로 해당 행이나 열의 몇 번째 값을 구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.
이때 사용할 수 있는 함수인 vlookup, hlookup 함수를 소개한다.
vlookup의 경우 설정한 범위의 특정 열의 값을 반환하고 hlookup은 특정 행의 값을 반환한다는 차이가 있을 뿐 두 함수 모두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는 엑셀 함수이다.
vlookup함수로 특정값을 포함한 행에서 오른쪽 x번째 열의 값 찾기
vlookup(변수 1, 변수 2, 변수 3, 변수 4)
- 변수 1: 특정값
- 변수 2: 변수 1과 찾고자 하는 값을 포함한 전체 범위
- 변수 3: 해당 범위에서 오른쪽 몇 번째 열을 반환할지 숫자 표기
- 변수 4: false입력 시 변수 1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결괏값을 반환함
- 참고: 변수 4를 미입력시 변수 1과 가장 비슷한 값을 기준으로 결괏값을 반환함
예를 들어 위 표에서 vlookup함수를 이용해 민수의 수학 성적을 구해보자.
- 변수 1: 민수에 해당하는 B3
- 변수 2: 민수, 철수, 영수의 국어, 영어, 수학 점수를 모두 포함하는 범위인 B3:E5
- 변수 3: 수학 성적은 해당 범위에서 4번째 열에 해당하므로 4
vlookup함수에 위 변숫값들을 입력하면 위와 같이 민수의 수학 성적인 80이 결괏값으로 반환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.
hlookup함수로 특정값을 포함한 열에서 아래쪽 x번째 행의 값 찾기
hlookup(변수 1, 변수 2, 변수 3, 변수 4)
- 변수 1: 특정값
- 변수 2: 변수 1과 찾고자 하는 값을 포함한 전체 범위
- 변수 3: 해당 범위에서 아래쪽 몇 번째 행을 반환할지 숫자 표기
- 변수 4: false입력 시 변수 1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결괏값을 반환함
- 참고: 변수 4를 미입력시 변수 1과 가장 비슷한 값을 기준으로 결괏값을 반환함
동일한 표에서 이번에는 hlookup함수를 이용해 민수의 수학 성적을 구해보자.
- 변수 1: 수학에 해당하는 E2
- 변수 2: 민수, 철수, 영수의 국어, 영어, 수학 점수를 모두 포함하는 범위인 B2:E5
- 변수 3: 민수의 성적은 해당 범위에서 2번째 행에 해당하므로 2
hlookup함수에 위 변숫값들을 입력하면 vlookup으로 구한 것과 동일하게 민수의 수학 성적인 80이 결괏값으로 반환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.
각 함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동일한 예시를 가지고 설명을 했지만 실제로는 data형식에 따라 vlookup이 적합한 경우가 있고 hlookup이 더 적합한 경우도 있으니 각자 상황에 맞게 판단해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:)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xcel]엑셀 vlookup, hlookup함수 다중 조건 값 추출 (0) | 2022.06.16 |
---|---|
[excel]엑셀 vlookup, hlookup 안 될 때 해결 방법 (0) | 2022.06.14 |
[excel]엑셀 Large, Small함수로 두번째 큰 값, 두번째 작은 값 찾기 (0) | 2022.05.28 |
[excel]엑셀 If, left함수를 이용하여 특정 텍스트로 시작하는 값 추출 (0) | 2022.05.28 |
[excel]엑셀 필터, 텍스트 나누기(글자 나누기)로 네이버 멤버쉽 혜택 계산하기 (0) | 2022.05.28 |
댓글